※ 원본은 곧 폐쇄될 예정인 제 네이버 블로그에 2018년 8월 28일 업로드한 글입니다.
※ 당연히 현 시점(2020년 2월 19일)의 저와 과거의 저는 물질적으로든 정신적으로든 다른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에 쓴 글을 보존하는 의미로 원문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기 했습니다. 아래 글을 읽을 때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지난 글에서는 PC를 이용해서 일렉트릭 기타 레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로우 임피던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하고, 저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기타 앰프 비슷한 소리를 내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까 하다가 '페달형 프리앰프'를 끼워 넣기로 했다는 이야기까지 했었죠.
페달형 프리앰프도 많은 제품이 출시되어 있습니다만, 일단 경제적 여력을 고려해 상한선을 정한 다음, 펜더 클린 톤이 취향이라는 정도의 이유로 후보가 꽤 압축되었고, 그중에서도 제일 유튜브 리뷰가 많은 데다 직관적으로 보이는 AMT 사의 F1을 최종적으로 선택했습니다.
같은 AMT 사의 다른 프리앰프를 연결하면 2채널 앰프처럼 사용할 수도 있는 제품입니다. 실제로 그렇게 사용하기를 AMT에서도 권하고 있고요. 개인적으로 펜더 말고 취향인 앰프를 고르라면 갈아먹는 사운드의 메사부기인데, 음... 왠지 별로 끌리지는 않습니다.
사용한 장비 및 노브 세팅은 지난 글의 그것과 완전히 같으며, AMT F1의 모든 노브는 12시 방향에 뒀습니다. 사실 AMT F1의 3-Band EQ를 조작한다면 더 나은 소리를 얻을 수도 있겠지만, 그러면 오디오 인터페이스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와 차이가 너무 커져서, 중립인 상태의 페달형 프리앰프를 연결해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이런 방법을 택했습니다. 실제로 레코딩 환경에서 저음은 베이스가 채워줄 것이니 좀 깎아내고, 미들과 하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더 나은 소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정해진 답은 없고 개인이 처한 환경 및 취향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면 됩니다. 앰프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고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들어가므로 -10dB 캐비닛 시뮬레이터 아웃풋을 선택했습니다.
모든 노브를 12시에 둔 프리앰프를 켜고, 모든 이펙터를 OFF한 상태입니다. 영상의 0:00~0:25에 해당합니다. 지난번에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페달보드를 바로 연결했을 때와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확실히 고음이 살아나고 많이 선명해졌다는 느낌입니다. 펜더 앰프의 특징이 살짝 나타나는 것 같기도 하지만, 좋게 봐 줘도 '펜더 향' 수준인 것 같습니다.
위에다가 공간계 이펙터들을 추가한 소리입니다. 영상의 0:25~0:50에 해당합니다. 클린 톤에서 프리앰프를 연결하면 조금 더 선명하고 밝은 소리가 나는 느낌입니다. 이펙터 세팅도 완전히 같은데, 딜레이 음이 조금 더 선명하게 들리는 것으로 보아 음의 분해능이 조금 더 늘어난 것 같은 느낌도 듭니다.
이제 오버드라이브를 걸어 보겠습니다. 영상의 0:50~1:15에 해당합니다. 왠지 미디로 찍은 가상악기 기타 소리 같았던 전과 비교했을 때 조금 더 우리가 알던 '일렉트릭 기타 소리'와 비슷해졌다는 느낌이 듭니다. 확실히 답답하다는 느낌은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직접 연결했을 때에 비해 많이 나아지긴 했습니다.
디스토션을 연결해보았습니다. 영상의 1:15~1:40에 해당합니다. 아르페지오 소리는 꽤 그럴듯해졌습니다. 고음역대가 트여서 답답하게 들리지 않는 데다가, 지저분한 무언가가 많이 섞여있긴 하지만 적어도 음이 뭉개지지 않고 하나하나 선명하게 들리기는 합니다. 스트로크를 해도, 심장을 찌르르 파고드는 진공관 앰프 소리는 절대 아니지만, 적어도 반주를 뚫고 나오는 기타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AMT F1은 위 영상에서 다룬 것 이상의 기능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중 하나가 +4dB 앰프 아웃풋인데, 자체 캐비닛 시뮬레이터를 거치지 않고 기타 앰프의 리턴 단자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한 상태에서 이 기능을 사용해 본 결과, 기계를 고장 낼 정도로 출력이 크지는 않습니다만, 확실히 뭉개지는 소리가 납니다. 자체 캐비닛 시뮬레이터가 일종의 EQ 역할을 하는 것 같은데, 그래서인지 소리도 별로 음악적이지 않습니다. 앰프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홈 레코딩을 할 때는 별로 유용하지 않을 것 같은 기능입니다.
공간계 이펙터를 연결할 수 있는 FX Send, Return 단자가 있어서 제가 사용하는 공간계 이펙터를 다 여기에 연결하고 있습니다. 인풋 단자에 직접 연결하는 방법도 사용해봤습니다만,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전자가 더 깔끔하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이 외에도 AMT의 다른 프리앰프를 연결할 수 있는 CH Send, Return 단자도 있고, 12V DC 아웃풋이 있어 페달 이펙터 하나를 더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분명 랙에 들어가는 스튜디오 프리앰프에 비교할 수준은 아니지만, 잘 연구한다면 꽤 다재다능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제가 AMT F1을 구매한 것은 올해 초였고, 몇 번 레코딩에 활용했었습니다. 그렇게 만든 곡들은 대체로 '데모'라는 표지가 붙은 채로 제 컴퓨터에 잠들어 있습니다만, 오디오 인터페이스만 활용하던 시절에 비해서 디스토션을 건 톤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이런 말 하긴 그렇지만 마이크 올드필드의 1973년 음반 《Tubular Bells》에 등장하는 Distorted Guitar 소리보다 이 방법으로 녹음한 소리가 훨씬 깔끔합니다. 기술의 발전을 생각하면 당연한 거지만요), 기타 소리가 좀 더 기타 소리답게 되었다는 느낌이었습니다.
하지만 들으면 느낌이 오다시피, 뭔가 부족합니다. 20만 원짜리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20만 원짜리 페달형 프리앰프 물려서 상업 음반 퀄리티의 소리를 바라면 도둑 심보겠지만, 그래도요. 결국 EQ를 얼마나 잘 만지느냐, 컴프레서를 어떻게 다루느냐 하는 문제였던 것 같은데, 마우스로 이런저런 변수들을 조작해야 하는 상황에서 심각하게 헤매고 마는 기계치였던 저는, 좀 더 편하고 안정적이고 직관적인 무언가를 찾게 됩니다. 바로 캐비닛 시뮬레이터입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 글에서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기타이야기 >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달보드로 일렉트릭 기타 레코딩하기 - 총집편 (2) | 2020.02.19 |
---|---|
페달보드로 일렉트릭 기타 레코딩하기 - 3부: 스피커 에뮬레이터 (Neunaber Iconoclast) (2) | 2020.02.19 |
페달보드로 일렉트릭 기타 레코딩하기 - 1부: 오디오 인터페이스 (Audioprobe Spartan Cue) (0) | 2020.02.19 |
페달보드로 일렉트릭 기타 레코딩하기 - 서론 (0) | 2020.02.18 |
PRS 총집편 (0) | 2020.02.18 |